이거 솔직히 담합조사 해봐야한다. 업체끼리 동시에 올리려고 간보다가 호식이 사건 터지고 이런저런 여론때문에 줄줄이 유보하거나 내리는거보면
빼박 담합이다
방문자
32대구남
시장이 안정화되고 나면
룸쌀롱에서 만나 진행되는 담합이 아니라도
구조적인 담합이 이루어지는것 같다.
별도의 합의없이
선두주자가 저지르고 시장이 괜찮으면
나머지도 따라가는….
이런식의 담합이 법률상으로 불법일까?
그러니 국가가 어느정도 개입하는건 불가피하단 생각이다.
방문자
..
응 그딴거 없어
비싸도 사쳐먹는 새끼들이 있어서 담합 안해도 됨
명품 판매전략중에 일부러 가격 올리는것도 있는데 무슨
애초에 치킨이라는 건 이미 포화시장이라 담합이라는게 성립하질 않음
방문자
~
진짜 무식하네… 치킨이 포화시장이라 담합이 성립하지 않는다? 완전 본인 생각을 진리처럼 적어놨네. 누가 그러냐 포화시장이라 담합이 안된다고. 포화시장이라 하더라도, 적자생존 속에서 안정적인 수익모델을 추구하는게 기업이고, 그렇기때문에 선두업계의 가격 등의 지표를 어느정도 따라가는게 시장경쟁의 양면성인데 헛소리 잘 끄질러 놨네. 명품 판매전략에 가격 올리는 거 얘기했는데, 이런 치킨 시장의 가격구조와는 아무 상관없는 걸 왜 꺼내서 한번 망신당할꺼 두번 망신당함? 아, 비싸도 어차피 살 사람들은 사니까 꺼낸 얘긴가?ㅋㅋㅋ 애초에 너님이 말한 그런 전략은 브랜드가치에 따른 계열상품 특성을 고급화시켜서 구매력과 로열티가 강한 소수구매자들을 잠재적으로 상주시키는 데 목적이 있는거야. 말마따라 네네를 먹어도 되고 BHC를 먹어도 되고, BBQ를 먹어도 되는 동종상품 이동성이 강한 대다수 치킨 수요자하고… 댓글 더보기
댓글달기
4 댓글 - "치킨업계 가격 인상 일지"
이거 솔직히 담합조사 해봐야한다. 업체끼리 동시에 올리려고 간보다가 호식이 사건 터지고 이런저런 여론때문에 줄줄이 유보하거나 내리는거보면
빼박 담합이다
시장이 안정화되고 나면
룸쌀롱에서 만나 진행되는 담합이 아니라도
구조적인 담합이 이루어지는것 같다.
별도의 합의없이
선두주자가 저지르고 시장이 괜찮으면
나머지도 따라가는….
이런식의 담합이 법률상으로 불법일까?
그러니 국가가 어느정도 개입하는건 불가피하단 생각이다.
응 그딴거 없어
비싸도 사쳐먹는 새끼들이 있어서 담합 안해도 됨
명품 판매전략중에 일부러 가격 올리는것도 있는데 무슨
애초에 치킨이라는 건 이미 포화시장이라 담합이라는게 성립하질 않음